회로 설계/초고주파공학 설계(2)
-
[초고주파공학 실험] #1-(1). Transmission Line Theory (전송선로 이론)
이번 시간에는 앞으로의 초고주파공학 실험을 하기에 앞서 전송선로 이론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보려고 합니다. 지난 시간에 고주파 대역에서 신호를 사용하려면 회로를 제작하는데 여러 가지 문제점을 고려해주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회로 제작시에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요소 중 하나가 임피던스 매칭(Impedance Matching) 입니다. 임피던스 매칭을 해주지 않으면 반사파가 생기게 되고, 원하는 신호를 전달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고주파에서는 왜 이러한 문제가 생기고, 임피던스 매칭은 무엇이고, 반사파는 왜 생기는 걸까요? 이와 같은 물음에 답하기 위해 이번 글에서는 1) 고주파 대역에서는 기존의 회로와는 어떠한 다른 점이 있는지, 2) 전송선로 이론은 무엇인지, 3) 특성임피던스란 무엇인지, 4..
2019.12.24 -
[초고주파공학 실험] #0. Intro
안녕하세요. 이번 카테고리의 주제는 초고주파공학 설계 실험과 관련하여 배운 내용을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초고주파공학 설계 실험이 어떤 과목인지, 그리고 앞으로 무슨 내용을 포스팅할 것인지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하겠습니다. 초고주파공학 설계 실험은 말 그대로 신호의 주파수가 높은 상황에서 회로를 어떻게 제작할 것인가에 대한 과목입니다. 전기회로 실험과 전자회로 실험에서는 주로 수 KHz ~ 수 MHz 정도에서 주파수를 사용했지만, 초고주파공학 설계에서는 주로 GHz 범위의 주파수를 사용하게 됩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주파수에서 더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게 되면 회로에서는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됩니다. 가장 중요한 문제중 하나가 회로의 임피던스를 매칭(Impedance Matching)을 해주어..
2019.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