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st
-
[SoC] Clock Gating - 저전력 설계 기법 (ICG cell)
안녕하세요. 오늘은 SoC에서 저전력 설계(Low power design) 방법 중 하나인 Clock Gating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저전력 설계는 말 그대로 반도체 칩을 구동시킬 때, 더 적은 전력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방법론을 말합니다. 자세한 내용에 들어가기 앞서 Clock Gating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왜 중요한 것인지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1-(1). Clock Gating이란? 여기서 Clock Gating이란, 반도체 칩 내부에서 사용하지 않는 모듈에 대해 Clock 공급을 차단시키는 기능을 말합니다. 반도체에서 Clock은 사람으로 치면 심장 박동과도 같은 것으로, Clock이 공급되지 않는 모듈은 죽은 모듈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즉, Dynamic Power를 소비하지 않기..
2023.05.15 01:15 -
[SoC] 반도체 개발 프로세스 단계 및 용어 (Project Life cycle Management)
반도체 개발 업무를 하다 보면 낯선 용어들을 접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습니다. 영어로 된 약자는 수도 없이 많고, 엔지니어로서 기술적인 용어 뿐만 아니라 마케팅이나 경영과 관련된 용어도 접할 일이 종종 있습니다. 그 중의 하나가 반도체 개발 프로세스에 관한 용어인데, 이 용어는 반도체 뿐만 아니라 제품 개발 업무를 하다보면 한 번쯤은 들어보게 되는 용어입니다. 개발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 1. DIA (Development Investment Approval) 첫 번째 단계는 제품 개발을 위한 공식적인 승인 및 절차를 밟는 과정입니다. 제품을 개발하기 전에 먼저 이 제품을 개발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익이 얼마나 되는지, 고객사의 요구사항이 무엇인지 조사를 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경쟁사의 제품..
2023.05.09 00:02 -
[산업] 일본의 파운드리 '라피더스'가 TSMC와 삼성전자를 따라올 수 없는 이유
일본이 파운드리 2nm(나노) 파운드리 사업을 시작하는 이유 최근 반도체가 정치, 군사, 안보, 경제 등 다방면에서 중요한 전략 물자로 떠오르면서 세계 주요국들이 자국의 반도체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10년 전만 하더라도 반도체를 생산하는 파운드리 기업 (TSMC, 삼성전자 등) 보다는 설계를 하는 반도체 기업들 (인텔, AMD, 퀄컴 등) 이 주목을 많이 받았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설계도 중요하지만 반도체를 생산하는 파운드리 기업이 반도체 공급망에 있어서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아무리 설계를 잘하더라도 결국에 실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생산을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제재부터 자국 내에 반도체 생산 라인을 유치하기 위해 세제 ..
2023.03.01 18:24 -
[일반물리학] #1-(2). 물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단위 (예제)
안녕하세요. ing' story의 현재진행형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지난 시간에 포스팅 하였던 단위와 물리량에 대한 간단한 예제를 풀어보려고 합니다. 이론만 보다보면 실제로는 어떻게 적용하는지 잘 와닿지 않는 경우가 많거든요. 지난 글을 읽고 잘 이해가 되지 않으셨던 분들은 이번 예제를 통해서 단위와 물리량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지난 글을 읽지 않으신 분들은 아래의 글을 참고해주세요. [일반물리학] #0. Intro : 일반물리학에 대한 포스팅을 들어가며 [일반물리학] #1-(1). 물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단위 예제 [1] [문제] 다음의 \(\rm{A}\), \(\rm{B}\), \(\rm{C}\) 세 물체가 각각의 거리를 이동하는데 걸린 시간은 다음과 같다. 세 ..
2023.01.16 00:11 -
[일반물리학] #1-(1). 물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단위
지난 글을 읽지 않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에서 Intro를 읽어주세요. [일반물리학] #0. Intro : 일반물리학에 대한 포스팅을 들어가며 안녕하세요, ing' story의 현재진행형입니다. 이번 글부터 일반물리학에 대해서 글을 써보려고 하는데요. 본격적으로 들어가기에 앞서 물리를 공부할 때 가장 기본적인 내용이면서도 중요한 내용에 대해 말씀을 드릴려고 합니다. 그런데 중요한 동시에 가장 기초적인 내용이라 대부분이 쉽다고 생각하거나 아예 읽지도 않고, 무시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굉장히 많은데요. 그것은 바로 “단위”와 “물리량의 정의”입니다. 1. 단위 (Unit) 먼저 단위입니다. 아마 방금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 중에서도 ‘단위? 뭐 그런것쯤은 당연히 다 알고 있지. 뭐가 중요하다고 ㅋㅋ' 라고 생각..
2023.01.13 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