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4. 17. 21:40ㆍ회로 설계/전자 회로 설계
지난 포스팅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토대로 PSpice를 이용하여 Simulation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실험에 대한 배경 지식은 아래의 글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회로 설계/전자 회로 설계] - [전자 회로 실험] #3-(1). Op-Amp : 가산기, 차동증폭기 설계하기
사전 실험
1. 실험에 사용할 741 Operational Amplifier에 대한 Data Sheet를 구하시오.
Op-Amp에 대한 모델은 여러개가 있지만 저는 ua741 소자에 대한 Data Sheet를 찾았습니다.
다른 소자에 대한 Data Sheet도 구글에 검색하시면 쉽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
[2-1] 3개의 입력 신호를 add 하는 회로를 Operational Amplifier를 이용하여 설계하고 출력 신호의 식을 구하시오.
앞서 설명하였던 반전 증폭기를 사용한 반전 가산기를 이용하면 해당 회로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위와 회로는 저항의 비를 1로 하여 반전 가산기를 구현해 준 회로입니다.
V1, V2, V3는 각각 1V, 2V, 3V 의 전압을 인가하였으므로 회로를 알맞게 설계하였다면, 출력에서 3개의 전압의 합인 6V가 위상이 뒤집혀서 출력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이를 Simulation을 돌려보면 위의 그래프와 같이 나타납니다.
그래프를 확인해보면 하늘색 그래프로 나타난 출력 신호의 크기는 3개의 입력 신호의 합인 6V이고, 입력이 (-) 단자로 인가되므로 위상이 반대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입력한 위상과 동일한 위상을 출력하고 싶다면, 위의 회로 출력에 증폭 비율이 1인 반전 증폭기를 추가하여 설계하면 됩니다.
[2-2] 2개의 입력 신호를 Subtract 하는 회로를 Operational Amplifier를 사용하여 설계하고 출력 신호를 구하시오.
뺄셈 연산을 하는 회로는 배경지식에서 설명한 차동 증폭기를 이용하여 설계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저항의 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두 입력 신호의 차이를 구하는 회로를 설계하여 보았습니다.
V1, V2는 각각 3V, 2V이 입력이 인가되었고 출력에서 1V의 전압이 출력이 되는지 Simulation을 통해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Simulation의 결과 두 입력 신호의 차이인 1V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회로를 설계할 때에 본인이 저항의 값을 적절하게 선택한다면 다양한 연산을 수행하는 회로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회로 설계 > 전자 회로 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 회로 실험] #4-(1). Op-Amp : 계측 증폭기(Instrumentation Amplifier) 설계하기 (6) | 2020.04.17 |
---|---|
[전자 회로 실험] #3-(1). Op-Amp : 가산기, 차동증폭기 설계하기 (1) | 2020.04.17 |
[전자 회로 실험] #2-(2). RLC 회로 설계하기 (RLC 필터) (0) | 2020.04.17 |
[전자 회로 실험] #2-(1). RLC 회로 설계하기 (RLC 필터) (1) | 2020.04.17 |
[전자 회로 실험] #1-(3). RC 회로 설계하기 (RC 필터) 실험 결과 (0) | 2020.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