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 회로 실험] #1-(2). RC 회로 설계하기 (RC 필터) 실험 결과

2020. 4. 17. 20:11회로 설계/전자 회로 설계




이번 시간에는 지난 시간에 설계했던 RC 회로를 직접 구현해보고, 이에 대한 실험의 결과를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실험과 관련된 이론은 지난 RC 회로 설계하기의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회로 설계/전자 회로 설계] - [전자 회로 실험] #1-(1). RC 회로 설계하기 (RC 필터) 예비 실험





실험 결과


지난 시간에 사전에 설계하여 Simulation 한 결과와 실제의 실험 결과가 얼마나 일치하는지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1] w3dB=1M가 되도록 위와 같은 RC 회로를 만들고 입력 Vin(t)에 펄스파를 인가하고 출력파형을 측정하시오.


 


먼저 지난 시간에 공부하였던 RC 회로의 이론을 바탕으로 차단 주파수가 1M가 되도록 RC 회로를 설계하면 위와 같습니다.


지난 시간에 공부하였듯이 RC 회로에서의 차단 주파수 w3dB


w3dB=1RC


가 됩니다.


저는 1RC=1M 가 되도록 R=1K[Ω], C=1nF 로 설정하겠습니다.


위의 회로에서 Capacitor에 걸리는 전압을 관찰하기 위해 Simulation 해보면 아래의 그래프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저는 그래프를 조금 더 잘 관찰하기 위해 50μs의 delay를 주어 50μs부터 결과의 값이 찍히도록 설정하였습니다.






위의 회로를 직접 구현하여 오실로스코프로 측정한 결과 아래와 같은 그래프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해당 그래프는 전압이 완만하게 증가하였다가 일정해지는 개형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실험의 결과를 확대하였기 때문에 Simulation의 결과와 기울기가 달라 보이지만, 눈금 scale을 고려하면 Simulation 한 결과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2] w3dB=10K가 되도록 위와 같은 RC 회로를 만들고 입력 Vin(t)에 펄스파를 인가하고 출력파형을 측정하시오.



이번에는 회로의 차단 주파수를 10K가 되도록 회로를 구현하고 측정을 하는 실험입니다.


앞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차단주파수가 10K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R=100[Ω], C=1μF로 설정하겠습니다.



다음으로 위의 회로에 펄스파를 인가한 후, Capacitor에 걸리는 전압을 관찰해보겠습니다.




그래프를 통해 확인해보면 Capacitor가 완전히 충전되지 못하고, 톱니바퀴 형태의 그래프를 그리면서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실제 시험의 결과에서도 위와 같은 실험의 결과를 관찰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그래프 사진은 실제 회로를 구현하여 측정한 결과입니다.


그래프의 개형을 보면 Simulation에서 확인하였던 톱니바퀴의 형태가 그대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의 그래프와 같이 전압의 그래프가 톱니바퀴 형태로 나타나는 이유는 Capacitor에 전하가 완전히 충전되기 전에 방전을 하게 되고, 또한 완전히 방전되기 전에 충전을 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1-3] 측정된 파형과 사전 보고서의 파형을 비교 분석 하시오.


다음으로 Simulation을 통해 얻은 그래프와 실제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 값을 비교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차단 주파수가 1M인 회로의 실험 결과 값을 다시 살펴보겠습니다. 


위의 사진은 커서를 이용하여 시상수를 측정한 것입니다.


RC 회로에서의 시상수는 τ=RC이므로 해당 회로에서의 시상수 값은


τ=RC=1K×1n=1μs


임을 구할 수 있습니다.


그래프에서 커서를 이용하여 살펴보면, 오차가 약간 발생하긴 하였지만, 1μs 후에 1V의 약 63.2%인 640mV에 도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결과 값이 Simulation의 결과와 일치하는지 수치를 통해 다시 한 번 확인해보겠습니다.





Simulation의 결과의 그래프에서 커서를 이용하여 1us 후에 전압이 얼마나 상승하는지 찍어보면 약 640mV 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의 그래프에서는 delay를 50μs로 설정을 하였기 때문에 측정한 51μs에서 delay된 50μs를 빼주어야 합니다.


이는 실제로 회로를 구현하여 관찰한 그래프와 일치함을 알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 차단 주파수를 10K로 설정한 회로의 실험 결과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해당 회로의 실제 측정값을 다시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위의 그래프를 보면 첫 번째 실험과 같이 시상수 값을 통하여 그래프 개형을 확인하는 것은 어려워보입니다.


대신에 전압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를 통해서 그래프를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커서를 이용하여 관찰해보면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이는 약 248mV 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결과값도 Simulation과 일치할까요?



PSpice를 통해 확인해본 결과, 전압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이를 살펴보면 약 235mV로 실험의 결과인 238mV와 거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회로를 적절한 값을 이용하여 잘 구현하였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사실 이번 실험의 핵심은 주파수에 따른 크기와 위상 변화에 대해서 관찰해보는 것이었는데 글이 너무 길어졌네요..


주파수에 따른 크기와 위상 변화에 대한 실험 결과는 다음 포스팅으로 찾아오겠습니다!